Tip for Astronomy 18

켄코 스카이메모(Skywatcher staradventurer) 모드 다이얼 회전 이상

두 번째 인것 같다.예~전에 이런 일이 있었는데, 또 발생한 것 같은데..측면에 모드 다이얼이 있는데, 돌릴 때 정확한 모드 위치가 되지 않고 어중간한 위치에 서면서 뭔가 딱 고정되는 느낌이 없는 그런 느낌..수리를 위해서 모드 다이얼 측면에 있는 소켓 2mm 사이즈 setscrew 를 풀어주면 해당 다이얼을 들어낼 수가 있다. 다이얼을 들어내면 내부에 육각 너트가 있는데, 이게 풀려 있어서 그렇다.  너트를 적절히 잠궈 주되 너무 강하게 조이면 하우징이 부서질 수 있으니 조심....  그리고 다시 다이얼을 재 조립해주면 된다. 조립시 setscrew 위치와 모드 다이얼 샤프트의 단 가공된 부분과 일치되도록 해서 끼운다면 setscrew를 다시 조여주면 된다.

Tip for Astronomy 2025.01.13

스카이워쳐 어드벤쳐 (Skywatcher adventurer) 극축 맞추기

해당 제품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유저들이 극망 어플을 이용하여 극축망원경을 세팅하는 듯 하다..여기서 소개하는 것은 극축망원경의 시간환 및 날짜환을 이용하여 극축을 세팅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이 방법은 빅센 스타일의 극축망원경을 사용하는 모든 적도의에 해당된다고 보겠다.. 1. 본체를 삼각대에 올려 놓고 수평을 맞춘다.. 위와 같이 물반을 중간에 오도록 세팅.. 2. 극축망원경의 적경환이 W8 에 와 있는지 확인.. 위 사진에서 E-W 로 표시된 눈금을 W 방향으로 8로 맞춘다... 일본의 경우 동경 135도 이고, 우리나라는 동경 127 도 이기 때문에 W8 로 세팅하는 것이다. 이 경우 돌아가는 날짜환을 10월 10일에 맞추고 이를 시간환에 2시에 맞추고 극망을 보면 아래 그림과 같이 6시 방향에..

Tip for Astronomy 2016.01.03

이미지 스태킹시 노이즈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

딥스카이의 디테일을 살리기 위해서 노이즈 극복은 필수적인데, 노이즈는 보통 아래와 같은 문제로 발생한다.온도(Dark Current)CCD 의 Readout 광해/sky background픽셀 결함이상적인 이미지는 이러한 노이즈를 최대한 없앤 이미지라 할 수 있다. 그래서 CCD들은 냉각 기능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Dark current 를 최소화하고 열화 노이즈를 줄인다. Readout noise 을 줄이는 카메라가 나오기도 하고, 픽셀결함 같은 경우 경우 Bias 처리나 디더링을 함으로써 가능하다. 또한 광해에 의한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 우리는 광해가 적은어두운 곳을 찾아 다니게 된다. ... Average, Median, Sigma clip 방법 중 결론은 Sigma clip 으로 stacking 시..

Tip for Astronomy 2015.12.04

다카하시 autoguide 핀 배치도..

SBIG ST 계열의 경우 아래를 참고... 요즘 나오는 카메라는 보통 RJ-11 타입 (6P6C 로 랜카드 같이 생긴 포트) 의 포트가 들어 있는데 SBIG 구형 카메라의 경우 9핀 D 영 커넥터(DB9이라 부름) 가 있는데, D 형 커넥터-Mini Din 6 Pin 케이블로 자작하던지, DB9-RJ11 변환 커넥터를 이용해서 적도의에 연결해야 한다. 아래는 RJ-11-Mini Din 6pin 타입의 pinout 이다.

Tip for Astronomy 2014.02.23

Astro image 보정 관련 동영상..

level & curve 동영상 강의http://youtu.be/WnPII6YdVBc Image PLUS 의 소개http://youtu.be/0pF8Zk8aMrM Image PLUS 를 이용한 M13 의 보정 (Digital Development) --> 굳~! http://youtu.be/vYaUvF9WYNA Image PLUS 를 이용한 화이트밸런스 조정 --> 굳~!http://youtu.be/cJapB5Epzlk Image PLUS 를 이용한 RGB 분리 후 재합성 --> 굳~!http://youtu.be/YTZzsJypeR0 Image PLUS 를 이용한 별상은 그대로 두고 바탕만 부드럽게 처리하기 --> 굳~!http://youtu.be/r7pJbSZovr4

Tip for Astronomy 2014.01.09

필터별 촛점 위치의 상이함..

예전부터 알고 있던 내용이긴 하지만, 다시 정리하는 차원에서... 맥심에서 시퀀스 촬영시 필터는 지정된 필터별로 순환식으로 촬영을 하게 된다. 예를 들어 L 필터 3장, RGB 각각 3장이라면 L->R->G-B->L->R->G->B….. 이런 식으로 촬영하게 된다. 보통 초점은 L 필터로 잡게 되는데, 문제는 여기서 시작된다. 필터별로 초점이 약간씩 상이하다는 것이 문제의 원인이다. F수가 6이상인 경우 그렇게 상관 없지만, 5이하의 경통 시스템에서는 이것이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결론을 최근에 얻게 되었다. 플래트너가 내장된 Pentax75 시스템에서는 L 로 촛점을 잡고 (보통 FWHM 을 2 미만으로 가져간다.) RGB 를 찍으면 별상에 크게 문제가 없다. 하지만 Ha는 문제가 된다. Ha 촛점은 뒤로..

Tip for Astronomy 2013.04.08

SS2k 의 가이드 그래프가 톱모양이다!

배터리 문제였을까? 가이드케이블 문제였을까? 콘트롤러 문제일까? 며칠간 계속 테스트를 했었다. 첫 테스트에서는 500미리 짧은 경통을 사용하면서 별 문제없었는데, 며칠 뒤에 촛점길이 약 1600미리인 8인치 RC 테스트에서는 이상하게 적위축이 +-2.5 픽셀씩 요동치는 현상이 보였다. 가이드 역시 실패했다. 자동차용 시거잭에 꼽아서 그랬을까? 자동차 시동을 걸지 않을 때는 약 12.4V 이지만, 시동을 켜면 전원이 약 14V 나온다. 혹시 적위축이 오버슈팅해서 그런 것일까? .... 며칠 뒤 12V AC 아답타를 이용해서 테스트를 했었는데, 그 외 달라진 조건은 없다..그러나 같은 현상이 보였다.. 어제 세번째 테스트에서는 구름 때문에 GG....;; 오늘 나름 일찍 퇴근(9시? ;;) 해서 가족들과 조..

Tip for Astronomy 2013.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