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p for Astronomy 18

가이드 그래프를 향상 시키기 위한 고민...

1. 적경축이 특정 시간에... 많이 튀는 현상....--> 1) 백래시가 너무 작은 것이 아닐까? 잘 되는 날은 잘 되다가 안되는 날은 또 안되는 현상임.. 백래시를 작은 기준으로 맞춰 놓았는데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면서 구리스가 얼어버리는(?) 현상으로 백래시가 더 작아졌다? 실내에서 약간 까딱 까닥하는 정도라면, 저온에서 오히려 더 바람직한 효과가 나지 않을까? --> 집에서 테스트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베란다에 적도의를 설치, 베란다 바깥 창문을 한동안 열어둔 후 외부온도 (영상 1도) 와 평행이 되도록 12시간 후에 확인해 보니 백래시가 줄어드는 느낌이 있었다. 그렇다면 20도 정도의 상온에서 어느 정도 까딱 까딱 하는 것이 야전에서 바람직한 효과가 나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실제로 트래킹(..

Tip for Astronomy 2013.01.21

모닝캄 백래시 세팅하는 방법...

고수님과 통화했던 내용이 있었는데, 다시 정리해 보기로 한다..모닝캄의 경우 백래시를 온도 변화에 따라 세팅을 할 수 있겠금 되어 있는데, 얼마만큼 해야 할지 난감한 경우가 있다.이런 경우 아래처럼 세팅하면 된다고 한다. 1. 컨트롤러에서 최고 속도로 세팅해 놓고 축을 좌/우로 회전시켜 본다. 정상적인 조건이라면 아마 회전이 잘 될 것이다.2. 백래시를 감소하는 조건으로 조절 볼트를 세팅하여, 모터 회전이 멈추는 구간을 찾는다. --> 사실 모터가 멈춘다기 보다는 컨트롤러 전원이 꺼져 버린다..3. 다시 백래시를 살짝 증가시켜 고속 slewing이 되는 조건으로 만든다. 4. 위의 조건은 고속 slewing이 잘 되는 조건으로 일반 트래킹 조건으로서의 백래시는 약간 큰 양이기 때문에, 백래시를 살짝 줄여..

Tip for Astronomy 2013.01.16

Bias Balance on Mount

이것은 본인이 검증하지 않은, 하지만 다른 많은 분들에 의해 검증된 이론이다.. 오늘 남기고자 하는 팁은 "적도의 밸런스"... '과연 최적의 좌우 밸런스는 최고의 결과물을 안겨주는가?' 답은 "No" 라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하는 것이 정답일까? 먼저, 적경축 (무게추-경통) 방향의 밸런스.. 적경축(RA)은 특성상 항상 East -> West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경통이 동쪽방향의 대상을 바라보고 있다고 상상을 해 보자. 이 상황에서 무게추를 약간 무겁게 해 준다면? 무게추를 0.5~1cm 밑으로 이동 적도의 RA 방향과 진행하는 힘에 반해 무게추를 끌어올리는 반력이 생성되게 되는데 이는 스무드한 RA 축 그래프를 그리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사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인터넷..

Tip for Astronomy 2013.01.16

PHD guide 의 Parameter 들...

1. OSC index 치수로 세팅하기.. OSC index는 다음 보정시 방향을 역전할 가능성을 말한다. 예를 들면 0.1 이라면, 다음 보정시 10프로의 회전의 역전 가능성을 말한다. 이상적인 조건이라면 역전을 최소화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OSC index 값이 1에 가깝게 나온다면 현재 overshooting 하고 있다는 의미이고 0.1에 가깝게 나온다면 제대로 보정을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이상적인 값은 0.3이라고 한다. 결론 --> 0.1 에 가까운 수치인 경우 : RA aggressive 값을 올리거나 히스테리시스 값을 낮춘다. 1.0 에 가까운 수치인 경우 : RA aggressive 값을 내리거나 히스레시스 값을 높인다. 단, RA aggressive 값은 0.7~1.0 ..

Tip for Astronomy 2013.01.15

[셋업;GSO8RC] RC 광축 새로 맞추기..(GSO8RC collimation)

모르면 만지면 안되는데..;; 이것 저것 만지다가 어쩌다 보니 주경 광축을 새로 보게 되었다. 왠만하면 만지지 말라고 메뉴얼에도 있건만..;; 그렇다고 어쩌겠는가...다시 맞추어야지..;;; 그런데 세팅방법이 만만찮았다.(입실론에 비하면야 쉽지만..^^) 처음엔 다카하시 collimation scope를 구매해야하나...고민이 되기도 하고 Howie Glatter 사의 동심원 나오는 레콜을 사야 하나 고민을 심각히 했는데...ㅠㅠ..문제는 가격이다... 그래서 퇴근하고 나서 한 두시간 정도 투자해서 광축을 다시 정렬시켰다.. 사경은 그리 어렵지 않다. 사경에 붙어 있는 사경 중심점을 체사이어 표시의 중간에 놓으면 된다.. 문제는 주경을 세팅하는 건데, 다카하시 collimation scope를 사용하여 ..

Tip for Astronomy 2012.06.19

[하늘] RC 광축 정렬을 하다..

여태껏 한 3번 필드에 나간 것 같다..2번은 연습, 그리고 지난 주말에는 한우산.. 솔찍히 신품의 광축에 대해서 의심을 해 오진 않았다. 기본 포커스를 내일 택배로 보내야 한다... 포장하기 전에 마지막으로 경통에 한번 조립하고 아~주 멀리 떨어진 가로등을 이용해서 광축 확인을 해 보았다...혹시나 싶어서.... 사실 캣츠아이 툴로 봐도 사경이 약간 틀어졌다는 느낌은 있었다....(경통의 포장을 뜯고 바로 확인했을 때도 그랬다..;;;) 조심스럽게 사경을 육안으로 정렬을 시켰다...사용한 툴은 캣츠아이 주경정렬용 툴(1개 구멍짜리..)이다...가만히 바라보고, 사경점이 위에 있다면 아래로 이동시켜 툴의 중심점(포커서 중심점) 과 일치시켜 주었다. 반드시 사경 볼트는 하나를 조일 때 나머지 2개를 풀어야..

Tip for Astronomy 2012.03.30

[이미지보정] 로버트젠들러는 이렇게 보정한다..

아래 링크 참조... http://www.robgendlerastropics.com/ 1. 루미넌스 레이어 기법을 이용한 이미지향상 http://www.robgendlerastropics.com/LRGB.html 요약본 : 1. color image 의 준비 1) dark 와 flat 을 적용한 전처리 작업을 실시 2) RGB 합성 3) 보통 RGB 는 낮은 해상도 (비닝 2x2에서 보통 촬영하므로) 이므로 높은 해상도의 L 과 합성을 위해 리사이즈 실시 4) nonlinear stretching 이나 DDP 를 더 할수 있다. 5) 8bit tif 로 저장한다. (24bit color) 6) 약간의 Gaussian blur (약 1~2 정도)를 적용하면 RGB 의 이미지가 부드럽게 된다. 이는 LRGB..

Tip for Astronomy 2012.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