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노트 35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 (Chap 5)

5. 첫 번째 문턱을 넘다.....인터넷은 우리의 서사를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터보(Turbo) 서사 기술의 승리 인간의 매체 역사에서 첫 수십만 년이라는 아주 긴 시간 동안에는 거의 아무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 서사적 관점에서 볼 때 매체는 유목민의 구술 문화에서 시작되었으며, 동굴 벽화와 최초의 판화가 이 뒤를 이어서 나타났다. 고대의 최초 문자문화는 중세 시대 성직자들의 문서 독점으로 이어졌고, 마침대 1440년 마인츠에서 요하네스 구텐베르그(Johannes Gutenberg)가 인쇄술을 발명함으로써 매체가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그 이후로 거의 6백년 동안 우리의 세계는 과거 6만 년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변했다. 그리고 인터넷 발명 후 30년 동안 우리가 매체를 다루는 방식은 대..

독서노트 2025.04.17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 (Chap 4)

4. 멘토와의 만남...단어, 문장, 그림:이야기의 수단 첫 번째 규칙 : 규칙은 없다 '내러티브(Narrative)', '이야기(Erzählung)', '스토리(Geschichete)'는 정확히 서로 어떤 관련이 있는가? 우리는 이 세 가지 개념과 그 의미가 서로를 기반으로 구축된다고 생각한다. 내러티브가 토대를 형성한다. 그 위에 내러티브의 문화적 표현으로 이야기가 쌓이고, 다시 그 위에 수많은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스토리가 쌓인다. 스토리(Geschichete)는 이야기되는 내용을 가리키며, 이야기(Erzählung)는 이것이 어떻게, 어떤 수단과 동기로 행해지는지를 나타내며, 내러티브(Narrative)는 왜 그리고 무엇을 위해 이야기가 전해지는지를 결정한다. - 내러티..

독서노트 2025.04.15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 (Chap 3)

3. 거부...나는 어떻게 나만의 영웅이 되는가?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스토리 우리는 자신의 유한함을 근본적으로 의식하고 있는 유일한 생명체이다. 우리가 스토리를 이야기하는 또 다른 이유는 죽음의 두려움에 희망으로 맞서기 위해서다. 잊히지 않기를 바라는 희망, 우리는 과게에서 현재로 스토리를 전달하면서 우리 자신과 우리 조상, 그리고 미래 세대를 위해 우리의 지식을 보존한다. 한스 블루멘베르크(Hans Blumenberg) 의 저서 《신화 작업 (Arbeit am Mythos)》에 따르면 "스토리는 무언가를 몰아내기 위해 이야기된다. 그 무언가란 가장 무해하지만 가장 중요한 경우에는 시간, 그 외의 중대한 경우에는 공포를 말한다." 동굴 벽화와 함께 구술이 정보를 전달한느 유일한 방식이었던 시대에 이..

독서노트 2025.04.12

세상은 이야기로 만들어졌다 (Chap 1,2)

1. 익숙한 세계     우리는 인지 능력의 대부분을 자기 이야기를 되도록 일관적으로 만드는 데 집중한다.     이야기는 우리에게 하늘을 설명해주고 암흑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며 우리가 탄 배를 외딴 해안으로, 그리고 마침내 우주로 이끈다. 이야기는 우리가 어떻게 살지, 어떻게 사랑할지를 가르쳐준다. 우리는 이야기와 함께 성장하고 이야기와 함께 묘지에 묻힌다. 좋은 이야기만큼 우리 눈을 빛나게 만들고, 우리를 매료시켜 귀 기울이게 만드는 것은 없다. 좋은 이야기만큼 우리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은 없다. 하지만 이야기는 우리에게 두려움을 불어넣기도 하고 서로 선동하기도 하며 전쟁을 시작하게 만들고 나와 다른 것을 언제나 적으로 간주하게 만든다. 폭력과 발견으로 가득 찬 인류 역사는 나누어진 우리 이야..

독서노트 2025.04.02

Culture 문화로 쓴 세계사 - 마틴 푸크너

1. 이집트의 네페르티티 왕비와 얼굴 없는 신    모두는 누군가에게 영향을 받는다. 모든 독창성은 다른 사람에게 빌린 것에서 비롯된다. 문화 저장 기술이 발전하여 과거를 마음대로 활용할 수 있게 된 이후 우리 모두는 후발 주자일 뿐이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무엇을 차용했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차용했느냐, 또  우리가 발견한 것으로 무엇을 하느냐이다. 망명한 유대 민족이 아톤 숭배 실험을 접했다 해도 그들이 이를 이용해 만들어낸 것은 전혀 다른 결과물이었으며, 어찌 됐든 위대한 성취로 기억될 가치가 있다.  - 55p-     네페르티티와 아케나톤을 지운 것이 일신교 실험 때문이었다면 이제 그들을 기억하는 이유도 바로 그것 때문이다. 우리는 일신교가 만든 세상에서 살고 있기에 이집트 역사 속 이 짧은 시기..

독서노트 2025.01.18

파우스트 - 괴테 -

비극 1부 지령          삶의 흐름 속에, 일의 모진 바람 속에, 위아래로 오르락 내리락하다가 이리저리 오락가락 누비며 탄생과 무덤, 영원한 바다, 변하는 인생, 불타는 생명, 이렇게 시간이라는 어수선한 베틀에 앉아서 신의 살아 있는 옷을 짜고 있다. 파우스트   그저 우두커니 앉아서 주워 모은 조각을 아교로 붙이고, 타가 남은 잿더미를 긁어모아 보잘것없는 불꽃을 일으켜 봤자 어린애나 원숭이라면 감탄할런지도 몰라. 그것이 자네 소원이라면 별문제 없겠지만, 그러나 자네의 마음 속에서 오러나온 것이 아니면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지는 못하지. 정직한 태도로 성공을 기다려야 되지. 방울을 흔들고 돌아다니는 어릿광대처럼 바보가 돼서는 안 돼. 명석한 두뇌와 성실한 마음만 가지고 있으면 기교를 부리지 않아도 ..

독서노트 2024.12.11

눈부신 안부 - 백수린

"지난 일 년 동안 네가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많은 변화가 생겼을 거라는 걸 이모도 안다. 많이 힘들었을 거라는 거도"   이모가 말하는 변화라는 게 평소와 다를 바 없이 등교한 언니가 전국을 떠들썩하게 한 가스 폭발 사고로 갑자기 사라져버린 일을 가리키는지, 언니를 잃은 고통으로 엄마 아빠의 사이가 멀어져버린 일을 가리키는지, 아니면 사람들이 우리 가족을 대하는 방식이 바뀌어 버린 일을 가리키는지 궁금했지만 묻지는 않았다. 아니면 그 모든 것에 대해서였을까?   "하지만 이제부터는 조금씩 나이질 거야. 한 번에 괜찮아질 리는 없지만, 천천히 회복되고 있나보고 싶은 날도 찾아올 거야. 그러니까 이모는 네가 씩씩하게, 이곳에서 잘 지냈으면 좋겠다. 가끔은 엄마도 도우면서."   "네"   나는 무거운 마음..

독서노트 2024.11.17

뇌 1.4킬로그램의 사용법 - Chapter 10 내 두뇌를 성장시키는 법

우리가 실제로 우리의 두뇌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은 분명해졌다. 주위의 외부 환경을 바꾸거나 신체의 내면 환경을 바꿔서, 우리는 장점을 더 잘 이용하고 약점을 보완할 수 있다. 변화는 상상력과 자기성찰을 통해 두뇌를 정확하게 파악하려는 의지, 그리고 어려운 일을 해내겠다는 노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두뇌를 양육하고 부양하는 기본적인 도구는 일상적인 것들이다. 신체적/정신적 운동, 적절한 영양, 적절한 수면은 인지적 명료성과 정서적 안정을 제공한다. 다른 중요한 훈련은 정산과 명상에서 찾을 수 있다. 심지어 자신의 열정을 좇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을 통해 우리는 두뇌의 뛰어난 가소성, 즉 우리의 두뇌를 재조직하는 힘을 제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앞서 먼저 태도의 ..

독서노트 2024.11.13

뇌 1.4킬로그램의 사용법 - Chapter 9 두뇌의 4가지 극장

첫 번째 극장 - 지각     두뇌는 정보를 기계적으로 저장하지 않는다. 그것은 매번 세상과 접촉할 때마다 계속해서 바뀐다. 매 순간 그것은 정보가 된다. 지각은 우리가 오감과 내부 인식을 통해 정보를 받아들이는 출입구다. 지각은 모든 경험의 시작이다. 이 극장의 문제는 종종 신체 발달 초반에 시작되지만, 그것이 야기하는 문제는 보통 나중에 좀 더 하류에서 나타난다. 지각 장애는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전의 과정을 급격히 변화시킬 가능성이 있다. 지각기관의 기형은 넓은 범주의 신경학적 기능에 손상을 가져온다.      지각 문제는 정서적 불안, 사교적 어려움, 파괴적 행동 같은 우리 삶의 주요한 초점에서 아주 먼 상류에 있다. 따라서 환자나 임상학자는 보통 지각 문제를 잘못된 인생의 원인으로 여기거나..

독서노트 2024.11.11

뇌 1.4킬로그램의 사용법 - Chapter 8 사회적 두뇌

목표 없는 남자     대부분의 인간은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아내는 데 약간씩 문제가 있다. 하지만 이들은 더 큰 문제를 겪고 있다. 가령, 그들은 자주 미치도록 사랑에 빠지고, 다른 사람에 휘둘린다. 생애 처음으로 삶이 살만한 가치가 있다고 느꼈기 때문에, 그 사람을 위해서만 살기를 원한다.    존은 어린 시절에 사회적인 장소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그리고 어머니가 자기를 너무 걱정하고 지나치게 개입한다는 걸 인식했다. 자신 때문에 어머니가 울 때면, 그는 자신이 그것에 별로 개의치 않는다는 사실이 두려웠다. 신경을 써야 한다고 느꼈지만 행동으로 옮기지 못했다. 그는 수학과 과학에 뛰어났는데, 이를 메사추세츠 공과대학에서 발휘했다. 하지만 이 재능은 수학과 컴퓨터 과학 가운데 전공을 선택할 무렵 중..

독서노트 2024.11.06